반응형
고용보험 · 구직급여 · 워크넷 · 고용24
2025 실업급여 모의계산 · 수급자격 · 금액 · 신청방법 완벽 가이드
#일일상한액 #일일하한액 #120~270일 #고용24모의계산 #워크넷구직등록
2025년 기준 실업급여(구직급여) 제도를 숫자와 표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. 고용24 모의계산 바로가기, 신청·인정 절차, 수급기간, 상·하한액, 자주 틀리는 포인트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.
① 2025 실업급여 핵심 요약
② 누가 받을 수 있나? 수급자격
기본 요건(근로자 기준)
- 이직일 이전 18개월 동안 피보험단위기간 180일 이상 (주휴 포함 유급일수 누적)
- 비자발적 이직 : 권고사직, 계약만료, 경영상 해고 등
- 구직활동 의사·능력 보유 및 적극적 재취업 활동 이행
특례 : 초단시간·예술인·노무제공자·자영업자형 보험 등은 가입 기간 산정 기준이 별도로 존재(예술인 24개월 내 9개월 등).
주의 : 자발적 퇴사·중대한 귀책사유·취업의사 없음 등은 제한될 수 있음. 만 65세 이후 신규 가입자는 적용 제외.
③ 지급액 계산 — 상·하한, 계산식, 예시
계산식
1일 구직급여 = min( max( 평균임금×60%, 하한액 ), 상한액 )
- 하한액(2025) : 64,192원 = 10,030 × 0.8 × 8
- 상한액(2025) : 66,000원
예시(가정)
평균일임금 | 60% | 적용 일일액 | 비고 |
---|---|---|---|
90,000원 | 54,000원 | 64,192원 | 하한 보정 |
110,000원 | 66,000원 | 66,000원 | 상한 도달 |
130,000원 | 78,000원 | 66,000원 | 상한 보정 |
포인트
• 월 환산은 통상 30일 기준(행정·언론 관행)으로 소개됩니다. 2025년 하한 월 약 1,925,760원, 상한 월 약 1,980,000원 수준(30일 단순 곱).
• 실지급은 개인별 인정일 등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(공식 모의계산 권장).
• 월 환산은 통상 30일 기준(행정·언론 관행)으로 소개됩니다. 2025년 하한 월 약 1,925,760원, 상한 월 약 1,980,000원 수준(30일 단순 곱).
• 실지급은 개인별 인정일 등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(공식 모의계산 권장).
④ 지급기간 — 120~270일 산정표
퇴사 당시 연령과 피보험기간에 따라 소정급여일수가 정해집니다(최소 120일 ~ 최대 270일).
연령/가입기간 | 1년 미만 | 1~3년 | 3~5년 | 5~10년 | 10년 이상 |
---|---|---|---|---|---|
50세 미만 | 120일 | 150일 | 180일 | 210일 | 240일 |
50세 이상 & 장애인 | 120일 | 180일 | 210일 | 240일 | 270일 |
※ 이직일 다음 날부터 계산하여 12개월 내 소진(기간 지나면 잔여일수 있어도 소멸 가능)
⑤ 신청·인정 절차 — 워크넷 → 교육 → 고용센터
Step 1. 사전 준비
- 사업장 이직확인서 제출(사업주가 고용부 시스템에 제출)
- 워크넷 구직등록 (이력서/희망직무)
- 온라인 수급자격 신청교육 수강
Step 2. 고용센터
- 관할 고용센터 방문 → 수급자격 인정 신청
- 상담/확인 후 1차 실업인정(취업희망카드 등)
Step 3. 실업인정 반복
- 차수별 요구되는 구직활동 달성(교육·이력서·면접 등)
- 정해진 날에 온라인/방문 실업인정 → 급여 지급
주의
• 퇴사 다음 날부터 1년 지나면 남은 일수라도 지급 불가.
• 자발적 퇴사는 원칙적으로 제외(예외 사유 존재).
• 만 65세 이후 신규 가입자는 적용 제외.
• 퇴사 다음 날부터 1년 지나면 남은 일수라도 지급 불가.
• 자발적 퇴사는 원칙적으로 제외(예외 사유 존재).
• 만 65세 이후 신규 가입자는 적용 제외.
TIP
· 온라인 교육과 구직등록을 미리 끝내면 센터 방문 시 처리 속도가 빨라집니다.
· 증빙(이력서·면접확인·수강증)을 차수별 체크리스트로 저장해두세요.
· 온라인 교육과 구직등록을 미리 끝내면 센터 방문 시 처리 속도가 빨라집니다.
· 증빙(이력서·면접확인·수강증)을 차수별 체크리스트로 저장해두세요.
⑥ 모의계산 — 고용24/고용보험 활용법
고용24 모의계산
- 구직급여 모의계산 접속
- 월 급여·가입기간·연령 등 입력 → 예상 일액·기간 산출
- 실제 지급과 차이 가능(퇴사사유·인정일 등 변동)
고용보험(대안) 모의계산
고용보험 모의계산에서도 간단 계산 가능(모바일 친화).
⑦ 자주하는 실수 & 체크리스트
- 기간 경과 : 12개월 내 소진 규칙 간과
- 구직활동 미달 : 차수별 요건 불이행으로 지급 보류
- 자발퇴사 오해 : 정당한 사유가 있어야 예외 적용
- 평균임금 산정 착오 : 상여·수당 포함 요건 확인
체크리스트
□ 워크넷 구직등록 □ 온라인 교육 □ 이직확인서 제출 확인 □ 모의계산
□ 고용센터 예약/방문 □ 차수별 구직활동 증빙 □ 실업인정 기한 엄수
□ 워크넷 구직등록 □ 온라인 교육 □ 이직확인서 제출 확인 □ 모의계산
□ 고용센터 예약/방문 □ 차수별 구직활동 증빙 □ 실업인정 기한 엄수
⑧ FAQ — 재취업수당·실업크레딧 등
Q1. 중간에 취업하면 남은 급여는?
소정급여일수의 1/2 이상 남기고 재취업하면 조기재취업수당 가능(미지급일수의 1/2 × 일액). 단, 요건 충족 필요.
Q2. 국민연금 실업크레딧은?
실업급여 수급 시 연금보험료의 일부를 정부가 지원(연계 신청 권장). 상세는 국민연금공단/정부24 안내 참고.
Q3. 2026년엔 뭐가 달라지나요?
2025.10 고용노동부 입법예고에 따르면 내년(2026) 구직급여 상한액이 68,100원으로 인상될 예정(하한 역전 해소 목적). 최종 확정 공고를 확인하세요.
⑨ 참고 링크 · 보도 · 법령
반응형
'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금투자 초보 필독! KRX 금현물 계좌 vs 금 ETF 차이 — 세금·수익률·수수료·환노출·인출 VAT까지 한눈에 (0) | 2025.10.18 |
---|---|
고금리 파킹통장 추천 & 은행별 금리 비교 총정리 (2025 최신) — 토스뱅크·카카오뱅크·케이뱅크·SC제일 (0) | 2025.10.18 |
짧고 강하게, 길게 회복! 인터벌 러닝 완벽 가이드 (0) | 2025.10.14 |
상생페이백 10월 환급액 확인하기|예상금액 조회부터 신청까지 쉽게 알아보기 (0) | 2025.10.13 |
소득금액증명원 인터넷발급 가이드 (2025 최신) — 홈택스·손택스·정부24 완벽 정리 (0) | 2025.10.12 |